본문 바로가기

정책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신청방법 혜택 (새롭게 시작된 2025년 강화된 혜택!)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이제 막 성인이 된 청년부터 30대 초반의 청년들이 적은 금액으로도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금을 제공하여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자산을 형성하고 이후 주택 자금이나 교육비 등 장기적인 재정적 안정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라면 누구나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연봉은 7,500만원이하인 경우라면 가능하므로 공식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공식사이트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은 은행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은행) 전용 앱을 통해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신청 시 해당 은행에서 가입요건을 확인한 뒤 계좌개설을 시행합니다.

 가입신청과 계좌개설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사이트에서 즉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 청년금융컨설팅

안녕하세요. 고객님 어떤 서비스를 찾고 계신가요?

ylaccount.kinfa.or.kr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기여금은 납입하는 금액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납입금액은 1천원부터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만기 5년 (60개월)동안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3만 3천원의 정부기여금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리는 은행별로 차이가 있으며 연 4.5~6% 수준이지만, 정부 기여금을 받으며 만기까지 유지할 경우 최대 연 9.54%의 적금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강화된 혜택 

 

 기존 만기 5년이 되기 전에 중도에 해지할 경우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 환수가 되어 아쉬움이 있었으나 2025년은 만기 (5년)이 되기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경우 중도에 해지하여도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을 유지하게 되어 더욱 강화된 혜택을 가지고 있기에 조건이 된다면 서둘러 신청을 하여 혜택도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

 

또한 기존에는 만기 전 부분인출서비스 이용이 제한되었으나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유의사항

 청년도약계좌는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이 가능하며 현재 청년희망적금을을 가입하고 유지하고 계신경우에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유의사항 참고하시어 미리 확인 후 상담받으셔서 목돈마련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공식사이트